소수서원, 우리나라의 최초 사액서원으로 알려진 곳이다. 부석사 가는 길에 위치해 있다.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이 고려시대 성리학자 안향을 배향하기 위해 백운동서원을 세웠고, 후에 풍기군수가 된 이황이 소수서원이라는 사액서원으로 승격시켰다. 한마디로 지방대학이 국립대학으로 승격된 것이다.
최초의 서원이었던 만큼, 건물의 배치는 우리가 알고 있는 예의 서원건축과는 너무나 다르다. 자유분방한 배치와 주변 계곡이 인상적인 서원은 당초 숙수사라는 신라시대 절터에 세워졌다.
서원의 입구로 들어섰다. 서원입구 오른편에는 경렴정이라는 정자가 있고, 그 옆으로 죽계수라는 계곡물이 잔잔히 흘러간다.
<소수서원 입구>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게 바로 강학당(명륜당)의 측면이다. 4칸 중 3칸이 대청마루이고 끝의 1칸만이 온돌방인데, 가운데 2칸을 마루로 두고 양끝 각 1칸씩을 온돌방으로 둔 통상적인 서원의 강당과는 형식이 많이 다르다. 강학당 왼쪽편에는 또 다른 담으로 둘러싸인 문성공묘가 있다. 바로 안향과 주세붕 등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강학당과 문성공묘 사이에는 장서각이 힐끔 보인다.
<왼쪽에 담으로 둘러싸인 곳이 문성공묘, 바로 앞이 강학당 측면, 그 사이로 저 멀리 장서각이 보인다>
장서각 쪽으로 다가간다. 장서각 옆에는 선생들이 기거하던 동재와 서재가 있다. 후대의 서원에서는 동재와 서재가 분리되어 강당과 직각으로 좌우에 자리잡고 있으나, 여기서는 한 건물에 모여있는 것이 특이하다. 동재는 일신재, 서재는 직방재로 불리운다.
<좌측이 장서각, 우측이 동재와 서재, 그 뒤로 영정각이 보인다.>
<영정각의 모습>
<영정각에 쓰여진 백운동 현판글씨가 선명하다. 내부에는 안향과 주세붕 영정이 모셔져 있다.>
<동재와 서재 건물, 동재(일신재)쪽에서 바라보다>
동재와 서재를 가운데로 두고 장서각 반대편에는 학구재와 지락재가 있다. 이 역시 한 건물처럼 가까이 붙어있어 마치 'ㄱ'자 처럼 마당을 감싸며 중정을 만들어낸다. 이 건물들은 유생들이 공부하던 곳이다. 대청마루를 뚫어놓아 담이 없다면(당시엔 없었다.) 계곡이 넘겨 보였을 것이다.
<측면이 보이는 곳이 학구재, 정면으로 보이는 곳이 지락재이다.>
건물 뒷편에는 아래와 같은 모양의 이상한 구조물이 있다. 아궁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굴뚝이라 보기엔 너무 낮은 이 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아궁이에서 뗀 불이 온돌을 너무 덥혀 공부하는 사람들의 정신을 어지럽히지 않기 위해 한기만 없앨 정도로만 방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불기운을 빼버리는 장치라 한다. 사진에 보이는 것은 학구재의 뒷편 모습이다.
<학구재의 뒷편 모습>
소수서원을 나오면 입구쪽에 당간지주가 서있다. 과거 숙수사라는 절의 것이다. 이 곳이 절터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는 유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
<숙수사 당간지주>
소수서원은 백운동 계곡의 평지에 지어졌는데, 그 옆에 흐르는 죽계수에서 선비들은 풍류를 즐겼을 것이다. 죽계수 건너편에서 바라본 소수서원의 모습이다.
소수서원의 죽계수 맞은편에는 취한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울창한 송림과 적당히 살랑거리는 바람에 한참을 쉬었다 간다.
<소수서원에서 바라본 취한정의 모습>
'[국내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절(8) - 순천 선암사 (0) | 2012.08.28 |
---|---|
(국내) 순천만 생태습지 (0) | 2012.08.27 |
한국의절(7) - 영주 부석사 (0) | 2012.06.07 |
(국내) 영월 청령포와 단종대왕릉(장릉) (0) | 2012.06.01 |
한국의절(6) - 양평 용문사 (0) | 2012.05.22 |